안전계수

모든 객체는 사용한 재질에 따라 재질 항복 강도 또는 극한 강도로 표현되는 응력 제한을 가집니다. 강에 40,000 psi의 항복 한계가 있다고 했을 때, 이 한계를 넘는 모든 응력은 일정 형태의 영구 변형을 불러 옵니다. 설계에서 항복 한계 초과로 인한 영구 변형을 감안하지 않는 경우(대부분의 경우), 최대 허용 응력은 40,000psi가 됩니다.

항복 강도를 사용하는 경우의 안전계수는 등가 응력(폰 미세스) 대 최대 허용 응력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이 1을 넘어야 설계가 유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미만이면 어느 정도의 영구 변형이 있음을 뜻합니다. 극한 강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대 주 응력을 통해 안전계수 비율을 결정합니다.

안전계수 결과를 통해 잠재 항복 영역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값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등가 응력 결과가 응력의 최고 영역에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안전계수 1은 재질이 근본적으로 항복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설계자는 예상된 최대 하중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4의 안전계수를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일부 설계 영역이 항복 상태이더라도 최대 예상 하중이 자주 반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상태가 항상 부품 오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높은 하중이 반복되면 Autodesk Inventor Simulation 응력 해석에 의해 시뮬레이트되지 않는 피로 실패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원리를 사용하여 상황을 평가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