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변수 세트를 사용하여 변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최대 편경사 설치율. 이 설치율은 편경사 설치율 테이블에서 설계 속도와 원곡선 반지름을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
{t} | 설계 속도와 원곡선 반지름을 기반으로 변환 길이 테이블에서 읽는 값. AASHTO와 같은 대부분의 경우 이 값은 평 크라운에서 전체 편경사까지의 변환 길이 값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접속설치율처럼 실제 길이가 아닌 다른 값일 수 있습니다. |
{c} |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일반 차선 경사(양수). 이 값은 편경사 계산 - 차선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정의합니다. |
{s} |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일반 길어깨 경사(양수). 이 값은 편경사 계산 - 길어깨 컨트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정의합니다. |
{w} | 이동 차선의 일반 폭. 이 값은 편경사 계산 - 차선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정의합니다. |
{l} | 완화곡선의 길이(완화곡선이 변환에 포함되는 경우). 원곡선 그룹에 있는 완화곡선 요소의 실제 길이입니다. |
{p} | 원곡선의 시작 전이나 원곡선의 끝 이후의 변환 길이의 분수 부분입니다. |
{q} | 일정한 속도로 원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심 가속도의 증가율입니다. |
이전 테이블의 변수는 다음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XML 코드 | 설명 | 예 |
---|---|---|
NC | 일반 크라운 |
![]() |
LC | 평 크라운 |
![]() |
RC | 역방향 크라운 |
![]() |
FS | 최대 편경사 |
![]() |
다음 테이블에서는 공식을 설명합니다.
LCtoFS |
![]() |
평 크라운 측점으로부터 최대 편경사 측점까지의 거리 값은 {t}입니다. 이 값은 선택한 변환 길이 테이블에서 읽습니다. 이 공식에서는 변환 길이 테이블에서 유출 길이를 정의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
LCtoBC | 평 크라운 측점에서 원곡선 시작 측점까지의 거리는 유출 길이 {t}를 변수 {P}와 곱한 값입니다. | |
NCtoLC |
![]() |
일반 크라운 측점으로부터 평 크라운 측점까지의 거리(편경사 변화 구간)는 유출 길이 {t}로 계산되며, 일반 크라운 경사 {c}를 곱하고 최대 편경사 설치율 {e}로 나눈 값입니다. 편경사 변화 구간 길이는 유출 길이로부터 보간됩니다. |
LCtoRC |
![]() |
평 크라운 측점에서 역 크라운 측점까지의 거리. (일반적으로 NCtoLC와 동일한 공식 사용) |
NStoNC | 일반 길어깨 점에서 일반 크라운 점까지. (편경사가 적용된 길어깨의 횡단경사변경부 제거 방법 및 차선 경사 일치에 사용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