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달

열이 금형 안으로 전달되었다가 바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금형은 열 교환기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금형의 주된 에너지원은 캐비티 안으로 사출된 뜨거운 플라스틱입니다. 핫 러너도 에너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금형 충전 동안 다음 세 가지의 메커니즘에 따라 열이 손실됩니다.

냉각 회로 내의 냉각수 유동
플라스틱 용융에 의해 금형 안으로 유입된 열의 약 80-95%는 금속을 거친 냉각관 표면으로의 전도에 따라 전도되어 열전달 유체 안으로 탈열됩니다.
사출기 금형으로의 전도
대부분의 열은 냉각수 유동에 의해 추출됩니다. 금형을 고온에서 작동할 경우 금형을 거쳐 대기 중으로 손실되는 열이 플라스틱 용융의 열 입력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으로의 대류 및 복사
금형 표면 상의 대류와 사출기 안으로 전도는 미약하며 전형적으로 총 열 유동의 5-15%를 차지합니다. 복사 열 유동이 전형적으로 총 양의 5% 미만이기 때문에 금형 온도가 높을 때만(즉, 85°C를 초과) 복사 열전달을 고려해야 합니다.

플라스틱 용융의 열 입력 외에, 핫 러너와 매니폴드도 금형 발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냉각수 온도가 주변 온도보다 꽤 높은 경우도 발열의 원인이 됩니다.

공극

에어 레이어는 효과적인 열전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형 삽입물과 성형 플레이트 사이의 공극과 냉각관의 에어 포켓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단계를 취하십시오.

온도차

제품 반대편의 온도차는 최소로 유지해야 하며 정밀 공차를 요하는 제품의 경우 10°C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