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후 굴절률 변화 결과에는 변형 후 굴절률과 재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는 재료의 공칭 굴절률 간 차이가 표시됩니다.
이 차이는 제품 내 응력의 결과입니다.
이 결과는 텐서 값입니다. 플롯 속성을 수정하여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결과를 가장 잘 표시하려면 을 선택하고 방법 탭을 선택한 다음 선택 상자에서 축형 텐서 또는 타원체형 텐서를 선택하십시오.
변형 후 굴절률 변화 결과는 3D 변형 해석 종료 시에 생성됩니다.
이 결과를 질적으로 사용하면 변형 후 제품의 응력에 의해 발생된 굴절률 변화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력은 취출 후 완화할 수 없는 인-몰드 잔류 응력이나 제품 냉각 및 변형에 의해 생성된 응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결과의 높은 값은 사출 주입점을 이동하거나,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 제품의 응력을 줄이거나(예: 냉각 시간 증가), 모델의 지오메트리를 수정하여 응력이 광학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제품 단면에 집중되도록 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복굴절은 굴절률 변화 텐서의 값이 기본 방향에 따라 달라질 때(예: 결과가 타원체형으로 표시될 때) 발생합니다. 복굴절에는 텐서의 배향에 따라 두 개의 가시 효과가 있습니다. 제품의 목적에 따라 한 가지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굴절률 변화 텐서가 각 축에서 대칭(예: 텐서가 구로 표시)인 경우 복굴절은 발생할 수 없지만 텐서의 크기가 제품 전체에서 달라지는 경우에는 렌즈 효과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