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후 굴절률 변화 결과

변형 후 굴절률 변화 결과에는 변형 후 굴절률과 재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는 재료의 공칭 굴절률 간 차이가 표시됩니다.

이 차이는 제품 내 응력의 결과입니다.

이 결과는 텐서 값입니다. 플롯 속성을 수정하여 표시되는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결과를 가장 잘 표시하려면 플롯 속성결과 탭 > 속성 패널 > 플롯 속성을 선택하고 방법 탭을 선택한 다음 선택 상자에서 축형 텐서 또는 타원체형 텐서를 선택하십시오.

변형 후 굴절률 변화 결과는 3D 변형 해석 종료 시에 생성됩니다.

주: 이 결과는 공정 설정 마법사의 충전+보압 페이지에서 재료 데이터에 광 속성이 포함된 경우 복굴절 분석 확인란을 선택하고 재료가 광 속성을 측정한 경우에만 생성됩니다.

결과 사용

이 결과를 질적으로 사용하면 변형 후 제품의 응력에 의해 발생된 굴절률 변화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력은 취출 후 완화할 수 없는 인-몰드 잔류 응력이나 제품 냉각 및 변형에 의해 생성된 응력에서 만들어집니다. 이 결과의 높은 값은 사출 주입점을 이동하거나, 공정 조건을 변경하여 제품의 응력을 줄이거나(예: 냉각 시간 증가), 모델의 지오메트리를 수정하여 응력이 광학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제품 단면에 집중되도록 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주: 제품의 목적은 허용되는 굴절률 변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0.1 값은 일반 용도로 허용되지만 광학용으로는 너무 큽니다.

고려할 점들

복굴절은 굴절률 변화 텐서의 값이 기본 방향에 따라 달라질 때(예: 결과가 타원체형으로 표시될 때) 발생합니다. 복굴절에는 텐서의 배향에 따라 두 개의 가시 효과가 있습니다. 제품의 목적에 따라 한 가지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중상
굴절률 변화 텐서에 입사광의 뱡향을 따르는 축이 없는 경우 편광되지 않은 라이트가 제품을 통해 볼 때 이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광 효과
굴절률 변화 텐서 축 중 하나가 입사광에 평행하면 이중상이 나타나지 않고 대신 라이트의 편광이 변경됩니다. 이 효과는 텐서의 두 직각 성분의 길이 차이에 비례합니다. 편광 변화는 버블의 표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색상 밴드처럼 눈에 띄게 표시됩니다.

굴절률 변화 텐서가 각 축에서 대칭(예: 텐서가 구로 표시)인 경우 복굴절은 발생할 수 없지만 텐서의 크기가 제품 전체에서 달라지는 경우에는 렌즈 효과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