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경사 접속 설치 방법의 예

이 섹션에서는 다양한 편경사 접속 설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XML 형식의 예를 보여 줍니다.

표준 접속 설치 방법 예

다음 예에서는 AASHTO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분할되지 않은 크라운이 있는 도로에 대한 변환 측점을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XML 형식을 보여 줍니다.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name="AASHTO 2001 - Crowned Roadway">
<AttainmentStyle style="Standard"/> 
<TransitionFormula type="LCtoFS" formula="{t}"/> 
<TransitionFormula type="LCtoBC" formula ="{p}*{t}"/> 
<TransitionFormula type="NCtoLC" formula ="{t}*{c}/{e}"/>
<TransitionFormula type="LCtoRC" formula ="{t}*{c}/{e}"/> 
<TransitionFormula type="NStoNC" formula ="{t}*({s}-{c})/{e}">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이 예에서는 표준 역방향 크라운 편경사 접속 설치 방법을 사용하고 이름이 "AASHTO 2001 - 크라운이 있는 도로"인 접속 설치 방법을 정의합니다. 이 예는 길어깨 횡단경사변경부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변환 거리 계산을 포함합니다(유형="NStoNC").

평면형 변환 접속 방법 예

이 예에서는 분할되지 않은 평면형 도로를 보여줍니다. 이 도로에는 크라운이 없으므로 역방향 크라운 제거도 없습니다.

평면형 접속 설치 방법에는 표준횡단 경사와 방향이 반대인 원곡선과 표준횡단 경사와 동일한 방향인 원곡선에 대한 두 가지 공식이 필요합니다. 다음 그림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도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왼쪽 원곡선에 오른쪽 원곡선보다 긴 변환이 필요한 일반 경사 편경사를 보여 줍니다.

다음 예에서, 연속 횡단은 일반 크라운으로부터 최대 편경사까지의 거리 유출 길이 {t}(변환 길이 테이블에서 파생됨)에서, 유출 길이를 곱한 일반 도로 경사 {c}를 최대 편경사 설치율 {e}로 나눈 값을 뺀 값을 정의합니다. 두 번째 공식에서는 일반 크라운에서 원곡선 시작까지의 거리를 {c}를 {e}로 나눈 값을 변수 {p}에서 뺀 결과를 {t}와 곱한 값으로 정의합니다.

반대 횡단은 전체 변환 거리(유출 길이 {t})를 정의합니다. 원곡선 시작까지의 거리는 {t}를 변수 {p}와 곱한 값이며, 일반 크라운과 평 크라운 측점 간의 거리는 {t}*{c}/{e}입니다.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name="Undivided Planar Roadway">
<TransitionStyle style="Planar"/>
<Continuing>
<TransitionFormula type="NCtoFS" formula="{t}-{t}*{c}/{e}"/>
<TransitionFormula type="NCtoBC" formula="{t}*({p}-{c}/{e})"/>
</Continuing>
<Opposing>
<TransitionFormula type="LCtoFS" formula="{t}"/>
<TransitionFormula type="LCtoBC" formula="{p}*{t}"/>
<TransitionFormula type="NCtoLC" formula="{t}*{c}/{e}"/>
</Opposing>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도로 폭 및 접속설치율에 의해 정의된 변환

모든 조직이 변환 길이를 직접 제공하는 테이블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다음 테이블은 최대 편경사 설치율과 을 설계 속도와 원곡선 반지름의 함수로 정의합니다. 이 경우 값은 도로의 일반 폭을 기반으로 변환 길이를 파생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변환 길이 테이블은 실제 변환 길이 대신 값을 정의합니다.

반지름(m) 90 km/h 100km/h 110km/h 120km/h
  E% E% E% E% n/a
7000 NC n/a NC n/a NC n/a NC n/a
5000 NC n/a NC n/a NC n/a 2.0 0.31
3000 2.0 0.39 2.0 0.34 2.0 0.32 2.0 0.31
2500 2.0 0.39 2.0 0.34 2.0 0.32 2.0 0.31
2000 2.0 0.39 2.0 0.34 2.0 0.32 2.3 0.32
1500 2.0 0.39 2.0 0.34 2.2 0.33 3.0 0.33
1400 2.0 0.39 2.0 0.34 2.4 0.33 3.2 0.34
1300 2.0 0.39 2.0 0.34 2.6 0.33 3.5 0.34
1200 2.0 0.39 2.2 0.35 2.8 0.34 3.8 0.35
1000 2.0 0.39 2.6 0.36 3.7 0.35 4.5 0.37
900 2.2 0.40 2.9 0.37 3.7 0.36 5.0 0.38
800 2.5 0.40 3.3 0.38 4.2 0.38 5.7 0.39
700 2.9 0.41 3.7 0.39 4.8 0.39 6.0 0.40
600 3.4 0.42 4.4 0.41 5.6 0.41    
500 4.0 0.44 5.2 0.43 6.0 0.42    
400 5.0 0.46 6.0 0.45        
300 6.0 0.48            

다음 예는 이전 테이블을 기반으로 두 가지 유형의 도로에 대한 접속 설치 방법과 공식을 보여 줍니다. 변수 {w}는 피벗점으로부터 이동 차선 모서리까지의 일반 도로 폭이며, 편경사 마법사에서 정의합니다.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name="Unspiraled ramp">
<TransitionStyle style="Planar"/>
<Continuing>
<TransitionFormula type="NCtoFS" formula="100*{e}*{w}/{t}"/>
<TransitionFormula type="NCtoBC" formula="{p}*{e}*{w}/{t}"/>
</Continuing>
<Opposing>
<TransitionFormula type="LCtoFS" formula="100*{e}*{w}/{t}"/>
<TransitionFormula type="LCtoBC" formula="{p}*{e}*{w}/{t}"/>
<TransitionFormula type="NCtoLC" formula="100*{c}*{w}/{t}"/>
<TransitionFormula type="LCtoRC" formula="100*{c}*{w}/{t}"/>
</Opposing>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 name="Unspiraled 2 way roadway">
<TransitionStyle style="Standard"/>
<TransitionFormula type="LCtoFS" formula="100*{e}*{w}/{t}"/>
<TransitionFormula type="LCtoBC" formula="{p}*{e}*{w}/{t}"/>
<TransitionFormula type="NCtoLC" formula="100*{c}*{w}/{t}"/>
<TransitionFormula type="LCtoRC" formula="100*{c}*{w}/{t}"/>
<SuperelevationAttainment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