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ge 보간법은 인접 보간법보다 복잡합니다. 보간/보외 점의 기준으로 사용할 통계를 결정하려면 공간 연속성 또는 종속성(공분산 또는 중간편차도)의 모형과 지표면 데이터의 단면 검토가 모두 필요합니다.
Krige 보간법을 사용한 공간 예측에는 두 단계가 있습니다.
보간되는 점의 출력 위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반드시 단면 검토 데이터가 보간 점 위치(출력)에 적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추세가 보간/보외 점 위치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보간/보외 점 위치의 추세를 결정하기 위해 지표면 반대쪽의 점을 선택하지 않도록 합니다.
최상의 성능을 위해 단면 검토 데이터 세트를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보간을 수행하는 시간과 알고리즘에서 사용된 메모리 양이 단면 검토 데이터 세트 크기와 함께 급속도로 커지기 때문입니다. 알고리즘은 각각의 점 쌍마다 한 개의 항목이 있는 행렬을 사용합니다(N**2 항목, 여기서 N은 단면 검토 점의 개수). 그리고 나서 이 행렬의 순서를 뒤바꿉니다(N**3 작업). 따라서 최상의 성능을 위해 N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권장되는 단면 검토 점 개수는 최대 200개입니다.
중간편차는 단면 검토 간의 공간 종속성 정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점 사이의 중간편차 배율은 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거리가 짧을수록 중간편차가 작아지며 거리가 길수록 중간편차가 커집니다. 점에서의 거리 함수로서 중간편차 구성을 중간편차도라고 합니다.
Kriging 보간법은 5개의 중간편차도 모형을 제공합니다:
점의 특정 거리에서 중간편차가 평균 값 주변의 편차와 일치할 때까지, 그러므로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서 평평한 영역이 실(sill)이라는 중간편차도에 발생할 때까지 거리가 증가하면 중간편차가 증가합니다. 관심 점에서 평평한 영역이 시작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영역 변수의 범위라고 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 위치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알려지지 않은 관심 점을 추정할 때 인접이라고 하는, 이 영역에 포함된 알려진 모든 단면 검토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영역의 중심점은 알려지지 않은 값입니다. 이 값을 결정하려면 중간편차도를 사용하여 인접한 영역 내의 알려진 모든 값에 가중치를 지정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이 가중치 및 알려진 값을 사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값을 계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