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달할 동력
| 
 
  | 
체인 속도
| 
 
  | 
유효 체인 인장 또는 인장 하중
| 
 
  | 
원심력
| 
 F c = m v 2  | 
주어진 체인 스팬에서의 최대 인장
| 
 F Tmax = F p + F C  | 
각 연계 스프로킷 또는 아이들러의 속도
| 
 
  | 
각 연계 스프로킷이 전달한 동력(아이들러의 경우 P X = 0이므로 P i = 0)
| 
 P i = P P X η  | 
각 연계 스프로킷에서 작동하는 토크(아이들러의 경우 T i = 0)
| 
 
  | 
각 스프로킷에서 타이트하고 느슨한 쪽의 힘이 결정됩니다. 프로그램은 각 스프로킷에 대해 입력 시 힘 F 1 및 출력 시 힘 F 2 를 정의합니다. 이러한 힘은 체인 동작과 관련하여 정의됩니다. 입력 시 힘 F 1 은 체인이 주어진 스프로킷과 접촉하는 체인 스팬에서의 힘입니다. 출력 시 힘 F 2 는 체인이 주어진 스프로킷과 떨어지는 체인 스팬에서의 힘입니다.
연동 스프로킷에서 타이트한 쪽의 체인 스팬에서의 힘
| 
 F 1 = F Tmax  | 
연동 스프로킷에서 느슨한 쪽의 체인 스팬에서의 힘
| 
 F 2 = F 1 - F p  | 
각 연계 스프로킷에서 타이트한 쪽의 체인 스팬에서의 힘
각 연계 스프로킷에서 타이트한 쪽의 체인 스팬에서의 힘은 체인 동작 방향과 관련하여 논리적으로 다음 스프로킷과 체인이 접촉하는 힘에서 소모됩니다.
| 
 F 2 = F 1(i+1)  | 
각 연계 스프로킷에서 느슨한 쪽의 체인 스팬에서의 힘
| 
 F 1 = F 2 - F p P X  | 
각 스프로킷의 결과 축 하중
| 
 
  | 
여기에서
| 
 P  | 
 동력[W]  | 
|
| 
 T  | 
 토크 [Nm]  | 
|
| 
 n  | 
 스프로킷의 속도 [rpm]  | 
|
| 
 n 1  | 
 연동 스프로킷의 속도 [rpm]  | 
|
| 
 n i  | 
 연계 스프로킷 또는 아이들러의 속도 [rpm]  | 
|
| 
 i  | 
 연계 스프로킷 또는 아이들러의 전동비 [-]  | 
|
| 
 v  | 
 체인 속도[m/s]  | 
|
| 
 D P  | 
 스프로킷의 피치 지름 [m]  | 
|
| 
 F P  | 
 유효 체인 인장 또는 인장 하중[N]  | 
|
| 
 F C  | 
 원심력 [N]  | 
|
| 
 m  | 
 특정 체인 질량 [kg/m]  | 
|
| 
 F Tmax  | 
 주어진 체인 스팬에서의 최대 인장[N]  | 
|
| 
 P i  | 
 연계 스프로킷에서 전달한 동력 [W]  | 
|
| 
 P X  | 
 연계 스프로킷의 동력비 계수 [-]  | 
|
| η | 
 효율 [-]  | 
|
| 
 T i  | 
 연계 스프로킷에 작용하는 토크 [Nm]  | 
|
| 
 F 1  | 
 개별 스프로킷이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스팬에서의 힘 [N]  | 
|
| 
 F 2  | 
 개별 스프로킷이 체인과 떨어지는 체인 스팬에서의 힘 [N]  | 
|
| 
 F 1(i+1)  | 
 논리적으로 다음 스프로킷이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스팬에서의 힘 [N]  | 
|
| 
 F R  | 
 각 스프로킷의 결과 축 하중 [N]  | 
|
| β | 
 각 스프로킷의 접촉각 [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