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더 변환을 작성하고 편집하려면 코리더 변환 속성 편집 테이블 뷰를 사용합니다.
코리더 변환 편집 명령을 선택하면 코리더 변환 속성 편집 테이블 뷰가 표시되고 명령행에 변환할 횡단구성요소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가 표시됩니다.
명령행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변환할 횡단구성요소 및 변환할 매개변수를 선택한 다음 측점, 값, 변환 유형을 선택합니다.
코리더 변환 속성 편집 테이블 뷰에서도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 편집 테이블 뷰에서 행을 선택하면 도면에서 해당 변환이 파란색 기호로 강조 표시됩니다.
여러 가지 다양한 변환 유형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계산된 각 측점이 다음 공식을 기반으로 하는 단순 선형 변환입니다.
시작 값 + ((시작 측점과의 거리 / 총 거리) * 증분)
여기서 각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분 = 끝 변환 값 - 시작 변환 값
측점 증분 = 시작 측점과의 거리/총 변환 거리
다음 공식을 사용하는 반향 곡선 변환:
변환 거리의 처음 33.33%까지:
시작 값 + (((측점 증분 * 3) ^ 2) * (증분 / 4))
변환 거리의 33.33%부터 66.66%까지:
시작 값 + (증분 / 4) + (((측점 증분 * 3) - 1) * (증분 / 2))
변환 거리의 66.66%부터 끝까지:
끝 값 - ((((1 - 측점 증분) * 3) ^ 2) * (증분 / 4))
변환 시작부터 발생하고 끝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플레어가 있는 정육면체 변환입니다.
이 변환에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끝 값 - (((1 - 측정 증분) ^ 3) * 증분)
변환 끝부터 발생하고 시작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플레어가 있는 정육면체 변환입니다.
이 변환에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시작 값 + (측정 증분 ^ 3) * 증분
변환 시작부터 발생하고 끝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플레어가 있는 포물선 변환입니다.
이 변환에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끝 값 - (((1 - 측정 증분) ^ 2) * 증분)
변환 끝부터 발생하고 시작으로 갈수록 평평해지는 플레어가 있는 포물선 변환입니다.
이 변환에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시작 값 + ((측정 증분) ^ 2 * 증분)
포물선 반전 변환에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변환 거리의 처음 50%까지:
시작 값 + (((측정 증분 * 2) ^ 2) * (증분 / 2))
변환 거리의 50%부터 끝까지:
((((1 - 측정 증분) * 2) ^2) * (증분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