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체 모드 제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형을 제한하거나 방지하지 않고는 모형을 구속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모형을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강체 모드 제거를 선택하여 솔루션 중에 강체 또는 자유형 바디의 동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구속된 모형에서 강체 모드 제거를 사용하려면 힘의 합계가 0이고 모멘트의 합계가 0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강체 모드 제거는 다음 시뮬레이션 유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습 아이콘 학습 이름
편집 아이콘 정적 응력
편집 아이콘 열 응력
편집 아이콘 쉐이프 최적화

강체 모드 제거는 모형에 전역 가속을 적용하여 작동합니다. 이 가속도(a)는 부품의 질량(m)(F=ma)을 기준으로 힘(F)을 생성합니다. 힘은 모형에 작용하는 불균형 하중에 반대로 작용합니다.

주: 전역 가속 외에도 솔버는 정적 안정성(자유형 본체 변환 또는 회전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소프트 스프링 구속조건 세트를 추가합니다. 스프링은 모형의 무게 중심에 앵커됩니다. 다른 끝은 모형 경계 상자의 구석에 가장 가까운 노드에 연결됩니다. 스프링은 하중과 가속력의 불완전한 수치 균형 때문에 유지되는 약간의 불균형을 고려합니다. 그러나 전역 가속은 기본 안정화 계수입니다. 소프트 스프링 구속조건은 결과에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영향을 미칩니다. 프로세스는 완전히 자동이며 지정할 추가 설정이 없습니다.

모형을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둘 수 있는 경우

  1. 구형 베어링에서 샤프트가 지원된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샤프트가 반지름 하중 아래에서 구부러질 때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이 하우징에서 피벗됩니다. 베어링을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에 어떤 유형이든 구속조건을 적용하는 경우 샤프트는 내장 빔처럼 동작합니다. 구속조건을 사용하면 구형 베어링과 달리 샤프트가 접힐 때 지지점을 회전할 수 없습니다.
  2. 조립품 부품 간의 곡면 접촉을 상상해 보십시오. 부품은 다른 부품과의 접촉에 의해서만 구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직접 구속되지는 않음). 이러한 경우 솔루션 중에 강체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체 동작이 하나 이상의 부품을 과도하게 구속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구속조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