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습에서는 여러 코리더 횡단의 매개변수를 편집합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횡단을 편집하게 됩니다. 첫 번째 방법은 단일 측점의 횡단구성요소 매개변수를 수정하여 해당 측점에 대해서만 횡단구성요소 설정을 재지정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횡단구성요소 매개변수를 수정한 다음 수정사항을 측점 범위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연습은 연습 1: 코리더 횡단 보기에서 계속됩니다.
단일 측점에 대한 횡단구성요소 특성 수정
이 연습에서는 이전 연습의 Corridor-4a.dwg을(를) 사용합니다.
설계 값 및 값 열에 동일한 값이 표시됩니다. 설계 값 열에는 횡단구성요소가 표준횡단에 추가될 때 지정한 값이 표시됩니다. 값 열에는 현재 측점에서 횡단구성요소의 실제 값이 표시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현재 측점의 설계 값을(를) 재지정한 후 결과를 확인합니다.
재지정 확인란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이 측점에서 재지정된 설계 값을(를) 나타냅니다.
기타 측점의 경우 폭값은 12.000’입니다. 횡단 뷰에 표시된 차선 횡단구성요소의 폭이 현재 측점의 폭을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됩니다.
값 열에 설계 값 열과 동일한 값이 표시됩니다.
측점 범위에 대한 횡단구성요소 특성 수정
도로의 한쪽은 얕은 절토, 다른 한쪽은 깊은 절토 상태입니다. 사면 전개 횡단구성요소에 대해 설정된 조건 때문에 도로의 왼쪽은 6:1 경사, 오른쪽은 4:1 경사를 사용합니다. 또한 도로의 편경사 변환을 확인합니다. 측점 4+50.00에서 차선은 상대적으로 평평합니다.
편경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선형에 편경사 적용 튜토리얼을 참고하십시오.
이 측점의 편경사 변환을 확인합니다. 침하된 중앙분리대 횡단구성요소에서 중심선 피벗 옵션을 사용하면 차선과 길어깨가 중심선 배수로 위의 한 점을 기준으로 편경사됩니다. 차선 지표면에 놓인 직선 모서리는 종단 기울기 점을 통과합니다.
중심선 피벗설계 값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피벗으로 설정됩니다.
종단 기울기는 주행로 내부 모서리에 유지되고 차선과 길어깨는 이 점을 기준으로 피벗합니다.
측점 11+00.00을 통해 변경사항을 볼 수 있습니다. 측점 11+25.00에서 중심선 피벗?값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피벗으로 전환됩니다.
다음 튜토리얼을 계속하려면 코리더 보기 및 렌더링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