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치 상세 정보: 전면 및 후면 축

축 그룹이 조정되면 이것은 아마도 애커맨 스티어링 원칙을 사용하므로, 각 휠은 동심 호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하게 다른 각도로 회전합니다. 트레일러에는 견인 전면 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차량의 후면 축은 고정되고, 조정 축은 전면 축(하나가 있는 경우) 또는 전면 커플링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가이드 선택은 축이 레일 또는 연석에 의해 가이드됨을 의미합니다.

휠 유형의 경우 다양한 타이어 휠 간의 차이는 차량을 3D로 애니메이션할 때만 나타납니다.

동일한 축은 모든 축이 동일한 기본 치수를 가짐을 의미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모든 축에 대한 값이 현재 표시된 축(반드시 축 1은 아님)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축은 현재 균일 간격 값의 균일한 간격으로 설정됩니다. 다중 탭이 축 1~3과 유사한 문자(동일)를 포함하는 단일 탭으로 축소됩니다.

이 축 그룹이 회전할 경우 2번째 스티어링을 선택하지만, 회전각은 다른 축 그룹 또는 커플링의 회전각에 연결됩니다. 후면 축 그룹은 자동으로 전면 축 그룹(있는 경우) 또는 전면 커플링 연결 각도(없는 경우)에 연결됩니다. 마찬가지로 전면 축 그룹은 자동으로 후면 축 그룹 또는 커플링에 연결됩니다. 장치는 전면 및 후면 축 그룹을 모두 연결할 수는 없습니다. 주 축 그룹 및 고정 축 그룹은 모두 연결된 스티어링을 가질 수 없습니다. 2번째 스티어링을 선택하면 스티어링 연결 비율의 세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의: 연결된 애커맨 다중 축 그룹을 작성하면 연결 비율을 0으로 설정하더라도 일부 휠이 돌아가 애커맨 축 유형을 반영합니다.

그룹의 모든 축이 동일한 간격을 둘 경우 균일 간격을 선택하고 필드에 값을 입력합니다. 동일한 축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고 가정됩니다.

주: 축 간격에 대한 기본값이 제공되지만, 정확한 수치를 얻어서 기본값을 덮어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룹의 휠이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각도를 알고 있으면 휠 각도 제한을 선택하고 제공된 필드에 각도를 입력합니다. 축 그룹이 애커맨 유형이면 모든 휠이 다른 각도로 회전하고, 이 경우 그룹에 있는 휠의 가장 큰 각도를 입력해야 합니다.

주: 이러한 방식으로만 보조 스티어링 또는 자가조향 축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주요 스티어링 제한은 스티어링 상세 정보 탭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사항: 제한 휠 각도에 도달하면 스티어링이 제어 또는 주요 스티어링 각도의 값과 제한 각도를 기준으로 다시 계산됩니다. 이것은 컷인 점을 제한된 축으로 향하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견인 축 그룹을 정의하는 경우 견인 길이를 입력합니다. 견인 끝에 있는 커플링(있을 경우)을 커플링 탭에서 지정해야 합니다. 또한 견인에 대해 견인과 견인이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장치 사이의 각도인 최대 연결 각도를 입력합니다.

앞바퀴, 보기 또는 견인 축 그룹을 정의하는 경우 축 그룹 피벗 오프셋을 지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전면 축 그룹의 축 1 앞에 있는 거리이고 후면 축 그룹의 축 1 뒤에 있는 거리입니다.

타이어 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외부 면 휠 트랙은 축의 가장 바깥쪽 타이어의 외부 면 위에서 측정됩니다. 연석 간 회전 원 반지름으로 스티어링 회전 각도를 지정하는 경우 이 값이 올바른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Pendel 축에서 이 치수는 각 하위 축의 외부 면까지 측정됩니다.

레일 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레일 게이지는 레일의 내부 면과 접촉하는 휠 면 간에 측정됩니다.

특정 차량은 언로드될 때 도로 접촉 시 축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의 축을 지정하려면 수축됨을 선택합니다. 그룹의 모든 축을 수축됨으로 정의할 수 없으므로, 정의상 그룹이 한 축으로만 구성된 경우나 모든 축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단, 수축될 수 있는 트레일러로 사용된 트랙터의 주요 조정되는 축은 이 규칙에서 예외입니다.

행별 보기대차 간격은 Pendel 축에만 적용되고, 각 탭은 보기 행을 나타냅니다. 행별 보기는 장치의 폭에서 각 행의 보기 수입니다. 대차 간격은 각 보기의 피벗 점 간 거리입니다. 값을 "1.5,2.1,1.5"로 입력하여 불규칙 간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첫 번째 간격은 가장 바깥쪽 보기와 인접 보기 사이의 거리이고, 두 번째 값은 다음 두 보기 간의 거리입니다. 마지막 값은 나머지 보기 간격에 적용된다고 가정됩니다. 보기 행은 대칭이라고 가정되므로, 한 쪽의 보기에 대한 간격만 지정해야 합니다.

보기별 축, 보기 축 가격보기 피벗 오프셋은 장치의 중심선을 따라 다중 피봇이 있는 텐덤 보기에 적용됩니다. 각 탭은 보기를 나타냅니다. 보기별 축은 단일 보기에 있는 축 수입니다. 보기 축은 모두 동일하며 보기 축 간격은 두 축 사이의 거리입니다. 보기 피벗 오프셋은 보기의 원래 중심에서 실제 피벗 위치까지 거리입니다. 보기 피벗 오프셋은 기본적으로 0입니다.

축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으면 이전 축에서 오프셋을 선택하고 필드에 값을 입력합니다. 축 1에는 오프셋이 없습니다.

고정 및 이착륙장치와 같은 비회전각 그룹에서는 자가조향을 선택하여 선택한 휠이 수직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애커맨 원칙 상 쇼핑 카트의 바퀴와 매우 흡사함). 이는 Autodesk Vehicle Tracking의 다중 축 그룹의 유효 축 오프셋 계산에 영향을 줍니다. 자가조향이 적용되는 방향을 선택합니다.

자가조향 축은 유효 축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널리 추정되지만, 자가조향 축이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경우 자가조향 마찰 계수를 지정하여 동일한 휠을 가지는 고정 축과 비교하여 축의 효과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0 마찰 계수는 자가조향 축이 유효 축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100% 값은 자가조향 축이 고정 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을 의미합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마찰 계수로 휠 각도를 조절합니다.

애커맨 조정되는 휠을 포함하는 축 그룹에서 고정을 선택하여 선택한 휠이 회전하지 않도록 합니다. 축이 고정되는 방향을 선택합니다.

주: 현재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축만 고정으로 그려지고 여전히 유효 축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회전으로 간주됩니다.

축별 휠 또는 하위 축은 양수 값의 홀수 또는 짝수일 수 있습니다. 홀수 값을 지정하는 경우 홀수 휠은 다음 필드에 지정된 휠 배치와 상관 없이 중심에 그려집니다.

휠 배치는 휠이 축을 따라 배치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이것은 축 말단, 균등한 간격 또는 지정된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정된 간격을 선택할 경우 휠 중심 사이의 거리인 휠 간격을 제공해야 합니다. 기본값은 휠 폭의 2배입니다.

휠을 축의 끝에 둔 애커맨 축을 정의하면 스텁 축 길이를 설정하는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길이는 휠 그룹의 중심에서 스텁 축의 반대쪽 끝에 있는 피벗까지의 거리입니다.

타이어 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타이어 지름 은 타이어를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트레드 표면까지 측정됩니다. 이것은 모든 축이 동일한 경로 예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그룹의 각 축 트랙 폭이 다를 때는 계산된 유효 축 오프셋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과 경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레일 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휠 지름은 레일과 접촉하는 표면까지 측정되고, 휠 폭은 휠의 외부 면까지 측정됩니다. 기본값이 제공되지만, 실제 값을 알고 있으면 기본값을 덮어씁니다.

타이어 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타이어 폭은 접촉 점에서 측정됩니다. 이것은 모든 축이 동일한 경로 예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그룹의 각 축 트래 폭이 다를 때는 계산된 유효 축 오프셋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과 경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새로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여 현재 정의된 마지막 축 뒤에 축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3개 축을 정의한 경우 새 축은 축 4가 됩니다. 새 축은 현재 축과 동일한 값으로 초기화됩니다.

삽입 단추를 클릭하여 현재 위치에서 축을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3개 축 중 축 2를 표시하는 경우 삽입된 축은 번호가 2로 지정됩니다. 삽입된 축은 현재 축과 동일한 값으로 초기화됩니다.

그룹에서 현재 표시된 축을 제거하려면 제거 단추를 클릭합니다. 축 1은 제거할 수 없습니다. 대신 축 그룹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장치 탭에서 전면 축 또는 후면 축 선택을 지워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