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 상세사항 페이지(중력식 관망 분석 대화상자)

대화상자의 이 페이지를 사용하여 관망과 연관된 파이프 및 구조물에 대한 값 및 설정을 검토하고 지정합니다.

데이터 테이블

관망 상세사항 페이지의 테이블에는 선택한 분석 유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입구 분석을 수행 중인 경우 추가 열이 표시됩니다.

행을 클릭하면 도면에서 해당하는 선이 강조 표시됩니다. 행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상황에 맞는 메뉴에서 명령을 선택하여 도면의 선으로 줌 및 초점이동하고 도면의 선을 선택할 수 있는 명령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선을 선택하면 파이프 및 구조물이 모두 선택됩니다.

아래와 같이 익스프레스 뷰 설정을 변경하거나 테이블에서 열 제목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상황에 맞는 메뉴를 표시한 다음 표시할 열을 선택하여 열의 화면표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음 조건에서 이 페이지에 경고 및 오류가 표시됩니다.

  • 값으로 인해 분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오류 기호 및 툴팁이 셀에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유역 영역 또는 유달 시간이 0인 경우 오류 기호가 표시됩니다.
  • 값으로 인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지만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방해되지는 않는 경우 경고 기호 및 툴팁이 셀에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경고 기호는 곡관에 표시되어 분석할 동안 해당 크기와 시작 및 끝 표고만 조정할 수 있음을 알려 줍니다.
  • 오류 및 경고는 테이블 아래와 관망 상세사항 버튼 아래에 있는 중력식 관망 분석 대화상자의 일반 페이지에도 표시됩니다.

    구조물 매개변수 매핑 버튼을 클릭하여 배수 구조물 매개변수 매핑 대화상자를 열 수 있습니다. 배수 구조물 매개변수 매핑 대화상자를 사용하여 요소 작성기 요소의 매개변수를 중력식 관망 분석 명령에 필요한 매개변수에 매핑할 수 있습니다.

여러 행 편집

한 열의 여러 행을 편집하려면 행을 선택한 상태에서 CTRL 또는 SHIFT 키를 길게 누른 다음 열을 선택했을 때 SHIFT 키를 계속 누릅니다. 열에서 선택한 항목 중 하나 이상이 편집 불가능한 경우(회색 배경으로 표시), 여러 행 편집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러 행을 선택할 경우 도면에서 해당하는 각 선이 강조 표시됩니다.

주: 대시(---) 는 적용할 수 없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회색 배경의 셀에 표시된 특성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
관망 내의 번호가 부여된 각 선(구조 및 구조의 유입구 파이프)을 표시합니다.
구조물
관망 내 각 구조물을 표시합니다.
파이프
관망의 각 파이프를 표시합니다.
파이프 쉐이프
파이프의 쉐이프를 표시합니다.
파이프 지름
파이프의 지름을 표시합니다.

관망 요소 리스트에서 사용 가능한 파이프 크기는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시작 관저고 표고
업스트림 방향으로 파이프 끝의 관저고 표고를 표시합니다.
끝 관저고 표고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파이프 끝의 관저고 표고를 표시합니다.
N 값
파이프의 Manning의 n 값을 표시합니다.
주: 일반 페이지에서 파이프 크기 조정 및 관저고 재설정을 선택한 경우, 분석에 사용된 값은 설정 페이지에서 가져옵니다.
파이프 길이
연결된 시작 구조물의 중심에서 연결된 끝 구조물의 중심까지 측정되는 파이프의 3D 길이를 표시합니다.
파이프 경사
파이프의 경사를 표시합니다.
시작 유입구/상단 표고
업스트림 구조물의 유입구 또는 상단 표고를 표시합니다.
끝 유입구/상단 표고
다운스트림 구조물의 유입구 또는 상단 표고를 표시합니다.
구조물 유형
관망 내 각 구조물의 유형을 표시합니다. 필드를 클릭하면 구조물 유형 변경을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주: 하나 이상의 구조물에 대한 구조물 유형이 유입망, 연석 유입구 또는 조합이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이 유입구로 정의됩니다. 이 특성은 구조물 특성 대화상자의 요소 특성 탭에서 구조물에 대해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 배수구: 일반 페이지에서 배수구 요소로 선택된 구조물은 배수구 유형으로 표시되며 이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 맨홀: 구조물을 맨홀로 지정합니다.
  • 유입망: 구조물을 유입망으로 지정합니다.
  • 연석 유입구: 구조물을 연석 유입구로 지정합니다.
  • 조합: 구조물을 조합 유출구(연석 및 유입망)로 지정합니다.
참조 지표면
구조물에 대해 참조 지표면을 지정합니다. 참조 지표면은 요소 규칙에 따라 관망 요소의 깊이와 표고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 참조 지표면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참조 지표면이 있는 경우 토피고 값 계산에 지표면 표고가 사용됩니다. 참조 지표면이 없는 경우 토피고 값 계산에 구조물 상단(일반적으로 0)이 사용됩니다.
유입구 위치
구조물이 연속 경사(경사)에 있는지 또는 오목한 지역(오목형)에 있는지 지정합니다. 필드를 클릭하면 구조물 위치 변경을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주: 유입구의 유입구 위치가 <none>인 경우, 관망 상세사항 페이지에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며 유입구 분석에서 분석되지 않습니다.
우회 대상
한 선에서 다른 선으로 이동하거나(예: 관망 내의 다음 구조물) 오프사이트의 초과 흐름이 있는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필드를 클릭하면 표시되는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흐름이 들어오는 구조물을 지정하거나, 흐름이 다른 관망이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오프사이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구조물 쉐이프
구조물 쉐이프를 표시합니다.
연석 유입구 길이
연석 또는 조합 유입구에 대한 연석 유입구 길이를 지정합니다.

이는 연석의 유입구 길이입니다.

연석 개구부 높이
연석 또는 혼합 유입구에 대한 개구부 높이를 지정합니다.

이는 연석의 유입구 높이입니다.

유입망 개구부 면적
유입망 또는 조합 유입구에 대한 유입망 개구부 면적을 지정합니다. 이는 물이 흐를 수 있는 유입망 막대 사이의 영역입니다.
유입망 길이
유입망 또는 조합 유입구에 대한 유입망 길이를 지정합니다. 이 치수는 측수로를 따라 흐르는 방향입니다.
유입망 폭
유입망 또는 조합 유입구에 대한 유입망 폭을 지정합니다. 이 치수는 측수로를 따라 흐르는 방향과 수직을 이룹니다.
로컬 저지대
유입구가 저지대인 경우 유입구 개구부 및 측수로 간의 표고 차를 지정합니다.
도로 Sx
도로 횡단 경사를 지정합니다.
측수로 Sw
측수로 횡단 경사를 지정합니다.
측수로 폭
거터 폭을 지정합니다.
종단 경사
유입구의 도로를 따라 경사를 지정합니다. 이 특성은 기울기 상 유입구에 사용됩니다.
측수로 n 값
측수로 재료(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유형)의 조도를 지정합니다.
알려진 흐름
선택 사항입니다. 유역 전체에 걸쳐 관련이 없거나, 유역이 없는 경우 유입구에 대한 흐름 지정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흐름을 지정합니다.
주: 유입구에 해당 유역이 없고 유입구의 알려진 흐름이 0인 경우 해당 유입구는 어떤 분석에도 사용되지 않으며 유입구 분석 CSV 테이블에 나열되지 않습니다.
소단 방법
소단 방법(저지대 또는 바닥, 평면(레벨링), 절반 소단, 전체 소단 또는 향상됨)을 지정합니다. 소단은 구조물 맨 아래에 있는 수로의 구성을 참조하여 유입구에서 유출구로의 부드러운 변환을 제공합니다. 미국 연방 고속도로국 교통부가 공표한 도시 배수 설계 매뉴얼, 수력 엔지니어링 회람 번호 22(HEC-22), 3판의 섹션 6.2.5 및 7.1.6.7을 참고하십시오.
유역
각 유입구 구조물에 연결된 각 유역 영역을 표시합니다.

여러 유역에서 동일한 구조물을 참조하는 경우 이 필드에 다중이라고 표시됩니다.

주: 구조물에 연결된 유역이 없는 경우 각 유입구에 대해 알려진 흐름을 입력하거나 2D 영역, 유출 계수유달 시간 필드에 값을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D 영역
각 유역의 2D 영역을 표시합니다.

여러 유역에서 동일한 구조물을 참조하는 경우 이 필드에 유역의 2D 영역의 합이 표시됩니다.

유출 계수
각 유역의 유출 계수를 표시합니다.

여러 유역에서 동일한 구조물을 참조하는 경우 이 필드에 가중 유출 계수가 표시됩니다.

유달 시간
각 유역에 대해 계산된 유달 시간을 표시합니다.

여러 유역에서 동일한 구조물을 참조하는 경우 이 필드에 가장 긴 유달 시간이 표시됩니다.

주: 유달 시간이 설정에 지정된 기본 최소 유달 시간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경고 아이콘 유달 시간 필드에 표시되어 기본값이 계산에 사용됨을 알려 줍니다.